배용준 슈퍼카 선택, 성공한 셀럽이 고른 기준은?
배용준이 소유한 17억 원대 럭셔리카 차고가 공개됐다. 롤스로이스·페라리 등 실제 차종과 그의 자동차 취향의 의미를 집중 취재했다.
1970~2000년대 한류의 전설을 만들어낸 배우 배용준이 소유한 것으로 알려진 슈퍼카 컬렉션이 한류 1세대의 성공과 위상을 가장 명확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전역에서 엄청난 인기를 누렸던 그의 성공이 만든 경제적 기반 위에서, 배용준은 롤스로이스의 럭셔리함과 페라리의 스포티한 감각을 동시에 추구하는 세련된 취향의 오너로 자리 잡았다.
롤스로이스 레이스, 단종된 럭셔리 쿠페의 정점
보도에 따르면 배용준이 소유한 가장 상징적인 차량은 롤스로이스 레이스(약 4억 9천만 원 ~ 5억 원대)다.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생산되었던 이 럭셔리 쿠페는 현재 단종된 모델로, 롤스로이스의 역사에서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했던 차량으로 영혼의 황홀경을 의미하는 이름 그대로 최고 수준의 럭셔리함과 스포티함이 조화를 이룬 차량이었다.
롤스로이스 레이스의 심장부에는 6.6리터 V12 트윈터보 엔진이 탑재되어 있으며, 624마력의 최고출력과 81.6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클래식한 럭셀카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제로백은 4.9초에 달해, 그 무게감 있는 차체에서 나올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성능을 보여준다.
롤스로이스 특유의 매직 카펫 라이드 현가 시스템으로 인해 보도 위의 미세한 진동도 차단되는 승차감은 마치 구름 위를 떠다니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 배용준이 이 차를 선택했다는 것은 그가 단순한 성능만이 아니라 럭셀카의 정신을 온전히 이해하는 인물임을 의미한다.
롤스로이스 팬텀, 궁극의 럭셔리 세단
배용준은 또한 롤스로이스 팬텀(약 8억 원대 이상)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롤스로이스가 자체 제작 섀시와 럭셔리 아키텍처 플랫폼을 사용하는 이 세단은, 레이스보다도 한 단계 위의 럭셀카의 최상위 계층을 대표한다.
팬텀의 최고출력은 563마력으로 레이스보다 낮지만, 이는 순전히 의도적인 설계다. 팬텀은 속도와 가속을 추구하는 차량이 아니라, 정적인 럭셔리함을 추구하는 오너드리븐 세단이기 때문이다.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최고급 나파 가죽, 우드 트림, 그리고 손으로 광택을 내는 페인트는 한 대당 무려 45kg의 페인트가 들어가며, 마감만 5시간에 달할 정도로 정교하다.

페라리 488 스파이더, 이탈리안 스포츠의 매력
배용준의 컬렉션에서 또 다른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페라리 488 스파이더(약 3억 8천만 원대)다. 이 차량은 페라리의 미드십 스포츠카 라인업의 정점으로, 롤스로이스의 정적인 럭셔리함과는 완전히 다른 동적이고 열정적인 드라이빙 경험을 제공한다.
3.9리터 V8 터보 엔진을 탑재한 488은 670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하며, 제로백은 3.0초에 불과하다. 가변식 부스트 압력 기술과 이중 스크롤 터보 기술로 폭발적인 가속력을 제공하는 이 차량은, 배용준의 다면적인 취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특히 스파이더는 하드탑 버전인 GTB와 달리 컨버터블로서의 자유로움을 추가로 제공한다. 하늘 아래 이탈리안 로드를 달릴 때의 그 경험은, 세단에서의 우아함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배용준 슈퍼카 컬렉션의 총규모
배용준의 알려진 차량 현황:
| 차량명 | 가격대 | 특징 |
|---|---|---|
| 롤스로이스 레이스 | 약 4억 9천만 ~ 5억 원 | V12 624마력, 단종 럭셜 쿠페 |
| 롤스로이스 팬텀 | 약 8억 원대 이상 | V12 563마력, 궁극의 럭셜 세단 |
| 페라리 488 스파이더 | 약 3억 8천만 원 | V8 670마력, 제로백 3.0초 |
| 총액 | 약 17억 원 이상 | 한류 1세대의 성공 상징 |
한류 1세대의 성공이 만든 라이프스타일
배용준의 슈퍼카 컬렉션은 단순한 자산의 축적이 아니라, 1990~2000년대 한류 열풍 속에서 얻은 글로벌한 성공을 물질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일본에서 '욘사마'로 불리며 엄청난 인기를 누렸던 그 시대의 성공이 오늘날까지 이렇게 고급스러운 라이프스타일로 이어져 있다는 것 자체가 흥미로운 현상이다.
롤스로이스 두 대의 조화로운 선택은 흥미롭다. 레이스의 스포티한 우아함과 팬텀의 정적인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것은, 배용준이 상황에 따라 다른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싶었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회사 행사에서는 팬텀의 무게감 있는 존재감으로, 개인적 드라이브에서는 레이스의 스포티한 감각으로—자동차를 통한 라이프스타일의 표현이 바로 배용준의 선택 철학이다.

롤스로이스가 중심인 이유
많은 한류스타들이 람보르기니, 페라리 같은 스포츠카를 선호하는 것과 달리, 배용준이 롤스로이스를 중심으로 컬렉션을 구성했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이는 단순한 고성능의 추구가 아니라 위상과 격식을 중시하는 성숙한 선택을 의미한다.
롤스로이스는 자동차라기보다는 이동하는 궁전, 또는 개인의 위상을 표현하는 상징물로 평가받는다. 배용준이 이를 선택했다는 것은 자신의 글로벌한 위치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더 이상 젊은 배우의 과시적 선택이 아닌 성숙한 셀러브리티의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하고 싶었다는 의도로 읽힌다.
한류 1세대의 유산을 표현하는 자동차
배용준의 17억 원 이상의 슈퍼카 컬렉션은 단순한 차량의 집합이 아니라, 1990~2000년대 한류를 주도했던 한 배우의 글로벌한 성공 이야기를 물리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당시 일본과 아시아 전역에서 얻은 경제적 성공이 오늘날까지 이렇게 고급스러운 라이프스타일로 이어져 있다는 사실은, 한류 1세대 연예인들의 위상과 그들이 만들어낸 문화적 유산을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배용준의 롤스로이스와 페라리는 단순한 자동차를 넘어, 세계 문화 교류사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것이다.